"세상에서 가장 쉬운 통계학입문" - 독서 후기

저자 : 고지마 히로유키 옮김 : 박주영 한 5~6년 전인가, 회사에서 진행된 "통계스터디"에서 사용했던 교제. 그 때는 "데이터분석"과는 별개의 업무를 진행하고 있어, 나에게는 기본소양을 넓힌다는 생각으로 접했던 책이다. 그때 잠시 보고 책장에 고이 모셔놓았던 책이기도 하다. 지금은 나와는 상관없을 줄 알았던, "데이터"를 다루고 있고, "통계" 관련 전공을 수료하지 않은 나로서는 뭔가 기본을 잡아주는게 필요하지 않을까 싶어서 다시 읽게 되었다. 사실 과거 스터디를 진행한 강사 분이 "이건 정말 쉬운거예요~ 어렵지 않아요~"라고 했던 말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. 그런데도 그때 난 책의 반을 넘기지 못했던거 같은데 말이다. 지금 짧게나마 "데이터"를 다루고 살다보니, 그 때 강사님의 말이 어느정도는 이해는 된다. 평균/분산/표준편차 까지는 말이다. 통계학도 "기술통계" 라는 부분과 "추리통계" 라는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내용도 알게되었다. 기술통계 = 관측을 통해 얻은 데이터에서 그 데이터의 특징을 뽑아내기 위한 기술 도수분포표, 히스토그램, 평균값, 표준편차 등등 추리통계 = 통계학 방법과 확률 이론을 섞은 것. '전체를 파악할 수 없을 정도의 큰 대상'이나 '아직 일어나지 않은, 미래에 일어날 일'에 관해 추측하는 것 부분으로 전체를 추측한다. 선거 속보, 지구온난화의 예상, 주가예상, 금융상품/보험상품 가격 책정 등 내가 업무를 진행하면서, "기초통계량"이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했었는데, 이 "기초통계량"이라는 부분들이 대부분은 "기술통계"에 해당하는 통계량이였다. 나는 이 책을 통해 통계학을 조금이나마 이해한듯하다. 가령, 분포를 기준으로 설명을 해보자면 이렇...